학회소식         공지사항

(사)국가미래연구원 소프트웨어 생태계 육성,골든타임이 지나고 있다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944

소프트웨어 생태계 육성,골든타임이 지나고 있다

 


 


인터넷 검색회사인 구글이 2017년까지 시장에 무인자동차를 내 놓겠다고 선언했다. 이미 미국 여섯 개 주에서 운전면허증을 획득했고 시속 100Km 이상의 속도로 복잡한 도로에서 성공적으로 시험 주행하였다. 무인자동차가 실용화되면 모든 운전기사들의 일자리가 위협 받는다.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질병의 예측과 맞춤형 치료가 가능하다. 미국의 한 회사에서는 99불에 유방암, 천식, 대머리, 조울증 등 119건의 질환에 걸릴 확률을 제공한다. IBM의 Watson 컴퓨터는 암 진단 및 치료법을 미국 주요 병원에 조언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이 컴퓨터는 60만건의 진단서, 200만 쪽의 전문서적, 150만명의 환자 기록을 학습했다고 한다. 향후 80%의 의사가 컴퓨터로 대체될 것이란 주장도 있다. 


신문기사를 컴퓨터가 스스로 작성한다. 지진이 발생하자 컴퓨터가 제일 먼저 기사를 송고하고, 운동경기가 끝나자마자 컴퓨터가 쓴 경기 분석 기사가 독자에게 전달된다. 컴퓨터가 칭찬과 비판의 강도를 조정하여 맞춤형 기사를 작성한다. 15년 후에는 뉴스의 90%를 컴퓨터가 쓸 것이라고 예측된다. 기자라는 직업이 컴퓨터로부터 도전 받고 있다. 


이처럼 상상을 현실로 만들어 주는 것이 소프트웨어다. 그 중에서도 인공지능이 핵심이다. 소프트웨어 기술은 핵분열과 같이 여러 산업의 구석구석에 파급되고 있다. 이런 현상을 외국 언론에서는 ‘소프트웨어가 세상을 먹어 치우고 있다’라고 하더니, 이제는 ‘모든 산업이 소프트웨어산업’이라고 표현한다. 


 


굴지의 기업들이 소프트웨어 회사로 거듭나기 위하여 구조조정과 혁신을 단행하고 있다. Bank of America 은행장은 “은행은 금융업을 가장한 소프트웨어 산업이다”라고 선언했으며, 벤츠의 회장은 “이제 자동차는 기름이 아니라 소프트웨어로 달린다”라고 주장한다. 산업용 제조업의 선두주자인 GE는 만오천 명의 직원이 일하는 신규 소프트웨어센터를 만들면서 “산업 회사로 어제 잠자리에 들었지만 내일 아침에는 소프트웨어 회사로 깨어나려 한다”고 다짐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우리의 기업과 사회는 이러한 변화에 덤덤하다. 언론으로부터 “소프트웨어 혁명의 외딴섬”이라는 지적을 받았으나 서두르는 기색이 없다. 사회 전반적으로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해도 부족하고, 소프트웨어 혁명을 이끌 전문가도 부족하며, 소프트웨어 전문기업들은 영세하다. 대기업들이 많은 사내 유보금을 쌓아 놓았으면서도 소프트웨어 기술과 인력 확보에 소극적이다.


미국의 SF작가 윌리암 깁슨은 “미래는 이미 와 있다. 단지 공평하게 퍼져있지 않을 뿐이다”라고 했다. 선진국 기업들을 변화시키는 소프트웨어 혁명을 우리 기업들이 외면하고 있다니 안타깝기 그지없다.


 


 


기사보기 [ http://www.ifs.or.kr&]

목록